항목 | 내용 |
의의 | 타인의 신체를 동의 없이 촬영하거나 촬영물을 반포·유포하는 경우 성립하는 범죄 |
법적 근거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4조 |
처벌 | 최대 7년 이하 징역 또는 벌금형, 신상정보 등록 가능 |
주체 | 피의자(피고인)와 피해자, 수사기관, 법원 |
변호사 역할 | 수사 대응, 합의 조율, 법정 변론, 양형자료 준비 |
개요
카메라촬영죄(카촬죄)는 타인의 동의 없이 신체를 촬영하거나 그 촬영물을 유포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범죄다.
스마트폰 보급 이후 증가 추세에 있으며, 사회적 비난 가능성이 매우 커 형사처벌과 함께 신상정보 등록, 취업 제한 명령까지 이어질 수 있다.
관련 법률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14조: 카메라 등을 이용한 촬영죄 규정
- 동의 없는 촬영, 촬영물 전송·배포·판매 모두 포함
- 공공장소, 사적 공간 불문하고 성립 가능
절차
- 피해자의 고소 및 수사 개시
- 피의자 조사 및 증거 확보
- 검찰 송치 후 기소 여부 판단
- 법원 재판 진행 및 판결
카촬죄변호사의 역할
- 수사 초기 대응: 피의자 신문 참여, 진술 조력
- 합의 조율: 피해자와의 원만한 합의 시도
- 재판 변론: 고의성·위법성 여부 다툼, 정상참작 주장
- 양형자료 준비: 반성문, 사회봉사 계획, 치료 이수 프로그램 참여 자료 제출
대응 전략
카촬죄 사건은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경찰 조사 단계부터 변호사의 도움을 받아 불리한 진술을 피하고, 피해자와의 합의를 통해 처벌 수위를 낮출 수 있다.
- 피해자와의 신속한 합의 추진
- 재범 방지를 위한 치료 프로그램 이수
- 사회적 신뢰 회복을 위한 봉사활동 자료 제출
참고
- 카메라촬영죄는 사회적 비난 가능성이 크고, 형사처벌 수위가 높음
- 합의 여부, 초범 여부, 반성 태도에 따라 양형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
- 본 문서는 일반 정보 제공 목적이며, 실제 사건 대응은 변호사 상담이 필요함
FAQ
Q1. 카촬죄로 고소당하면 무조건 처벌되나요?
A1. 증거 확보 여부, 촬영 목적, 피해자와의 합의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Q2. 합의를 하면 형사처벌을 피할 수 있나요?
A2. 합의는 양형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범죄가 명백한 경우 기소 자체를 막기는 어렵습니다.
Q3. 초범이라도 실형이 선고될 수 있나요?
A3. 네. 범행 수법이 중대하거나 피해가 클 경우 초범도 실형 가능성이 있습니다.
Q4. 온라인 유포가 없는 단순 촬영도 처벌되나요?
A4. 네. 단순 촬영 행위만으로도 처벌 대상이 됩니다.
Q5. 카촬죄변호사를 선임하면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A5. 수사 초기 대응, 합의 진행, 법정 변론, 양형자료 준비 등 전 과정에서 법률적 조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